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단기취업비자 C-4비자와 외국인 계절근로자 프로그램

단기취업비자 C-4비자와 외국인 계절근로자 프로그램


안녕하세요? #장행닷컴행정사 사무소의 장만익 행정사입니다.

농번기 철을 맞이하여 농업을 하고 계신 분들이 많이 바뻐지고 있습니다.

특별히 적극적인 인력이 필요한 농번기 철에는 일손 구하기가 쉽지가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를 위해, 법무부에서는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괴산, 충남 서천을 중심으로 #외국인_계절근로자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3개월 단위로 바쁜 농어촌에 #외국인 근로자를 투입시켜 일손을 해결해 오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까지 c-4비자 (#단기취업비자)로 한국에 와서 농어촌에 일손을 도와준 외국인은 6,700여명이 되었습니다.

최근에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의 보완 및 운영 상황을 파악한 법무부는 앞으로 최장 5개월간 체류자격을 부여하는 단기취업비자 (#c4 비자)를 검토한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처음에 외국인 계절 근로자에 대해서 c-4비자의 적절성 여부도 검토의 대상이 되었는데, 이미 한국에 들어와 있는 e-9비자 근로자와는 별도로 농번기 철에 맞는 외국인 근로자들을 통한 농어촌의 부족한 일손을 보태고 있는 실정입니다.

다만, 현재 계절근로자 제도를 5개월로 하게 되면, 우선 91일 이상 한국에서 장기체류하는 결과가 되어 #외국인등록 이 필수가 되며, 기존의 c-4비자로는 해당 비자를 설명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법무부는 5개월 까지 장기 체류가 가능한 장기체류자격을 추가로 신설할 예정이라고 하니, 그 부분은 추후에 발표가 되면 검토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현재 대한민국 #국민의 배우자 (#F6비자) 인 외국인 혹은 영주권자, 귀화자의 부모, 친척 등에 대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데, 통계 발표에 의하면, 이탈자가 한 명도 없다고 합니다.

따라서, 새로이 시행되는 5개월까지의 장기체류 비자에 대한 제안을 하자면, 우선, 국민의 배우자인 외국인의 부모 등의 외국인들에게 시행을 하고, 3번 이상 C-4비자인 외국인 계절근로자로 입국해서 체류상 문제가 없는 외국인들을 그 대상으로 데이터를 모아야 할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단기 취업비자이기는 하지만 5개월 까지 시행된 C-4비자는 이전에 없었기에 이에 대한 중, 장기적인 대책과 더불어 체류관리에 대한 관할 지자체와의 협력 또한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G1비자 외국인의 체류자격외활동허가

 G1 비자 외국인의 체류자격외활동허가 G1 비자는 그 종류가 다양 (G1-1 비자 ~G1-99 비자 ) 합니다 .   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G1-5 비자 ( 난민신청자 ) 와 G1-6 비자 ( 난민불인정자 중 인도적 체류허가자 ) 를 소지하고 있는 외국인에게만 체류자격외활동허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체류자격외활동허가는 E1 비자부터 E7 비자 군에 속해 있는 직업군에서 외국인이 취업하기 위해서는 E1 비자 ~E7 비자 군에서 요구하는 자격요건을 구비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 F1 비자를 소지하고 있는 외국인이 컴퓨터소프트웨어 회사에서 취업을 하는 경우에는 E7 비자의 기본 요건인 학력과 경력 , 그리고 회사의 상황을 두루 확인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본론으로 돌아가서 , G1 비자를 소지하고 있는 외국인은 국내 기업에 취업하여 취업활동을 할 수 있지만 G1 비자로 6 개월 이상 한국에 체류하고 있어야 하며 , E1 비자 ~E7 비자 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 단순업무 " 만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  G1 비자를 소지하고 해당 기업에서 체류자격외활동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관할 출입국외국인청 혹은 출입국사무소에 방문예약 ( 방문예약을 요구하지 않은 출입국사무소는 내방 접수 가능 ) 을 하고 방문해야 하며 , 본인과 회사에 관계된 서류들을 준비해야 합니다 . G1 비자 외국인의 체류자격외활동허가

식품제조가공업과 즉석판매 제조가공업의 차이

식품제조가공업과 즉석판매 제조가공업의 차이 식품제조가공업과 즉석판매 제조가공업의 식품 판매의 차이 ​ 식품을 제조하는 가공업체나 식품을 판매하는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는 식품 관련 업체의 경우, 간혹 식품제조가공업 과 즉석판매 제조가공업 이 같은 영업신고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하곤 합니다. ​ 우선 식품 관련 영업을 하기 위한 영업신고가 필요한 업종을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식품관련 영업신고 를 해야 하는 업종은; ​ (1) 식품제조가공업, (2) 즉석판매제조가공업, (3) 식품운반업, (4) 식품소분판매업, (5) 식품냉동냉장업, (6) 용기포장류제조업, (7) 휴게음식점영업, 일반음식점영업, 위탁급식영업, 제과점 등이 있습니다. 식품제조가공업 ​ ​ 식품제조가공업 이란 쉽게 설명해서 식품을 제조하거나 가공하는 업을 영위하는 것을 말합니다. 식품제조가공업은 즉석판매제조가공업보다 더 엄격한 제조업 시설을 갖추어야 하는데, 통상 제2종근린생활시설 (제조업) 또는 공장 (500㎡이상)이어야 하며, 폐수 배수시설, 시설도면 (사무실, 위생전실, 원료처리실, 작업장, 포장실, 창고등), 또한 농지법, 하수도법 등 다른 법령에 위반되거나 저촉되는 사항이 있는 지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 식품제조가공업의 일반적인 신청 방법은 (1) 식품제조가공업 영업등록신청서 작성→ 위생교육 수료증 제출→ 건강진단결과서 제출 (보건증)→ 지하수 수질검사 성적서 제출 → 사업개요서 (도면포함)→ 건축물 대장, 토지이용계획확인원 등을 제출하여 식품제조가공업 영업등록 신청 을 합니다. 식품제조가공업에 대한 영업등록이 되면, 영업등록 후 제품생산 7일 전후로 품목제조보고서 를 제출해야 합니다. 품목제조보고서는 판매 제품별 로 제출하되, 제조방법설명서 , ...

D10 visa Extension D-10비자 연장시 체류경비 입증

<<D-10 VISA Extension>>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D-10 VISA (Job Seeking VISA) Extension is to prove your living expenses. When you apply for D-10 VISA Extension, you shall submit documents for proving your living expenses. In principle when you submit the documents to prove your living expenses, it is as follows: (1) Bank transaction details including the last 6 months (certificate of bank transaction details) and bank balance to prove your financial allowance for the next 6 months (certificate of bank balance). (2) If there is an unclear expenses statement on bank statements, the applicant for D-10 VISA Extension has d duty to prove it. (3) If the applicant violated the change of information on Alien Registration, such as an internship working without a report to Immigration Office etc.) and it is confirmed by Immigration Office, which the applicant has been working as an intership without a working permit from the Immigration Office etc., the period of ext...